본문바로가기 퀵메뉴바로가기
  • 주소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연세대길 1 (매지리,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 전화033-760-2828
  • 팩스

대학 모집인원 탭 바

알림아이콘

2026학년도 전형평가기준 및 결과공개 자료입니다.

  • A

    제목 없음

    -1 전년대비 주요 변경사항』 

    구분

    2026학년도

    2025학년도

    비고

    공통

    학교폭력조치사항 반영

    학교폭력조치사항 미반영

     

    학생부교과

    [교과우수자(추천형)전형]

    총 모집인원: 148

     

    신설

    학생부교과

    [교과우수자(일반형)전형]

    교과우수자(일반형)전형

    총 모집인원: 210

    교과우수자전형

    총 모집인원: 425

    명칭 변경 및 모집인원 조정

    전 모집단위(의예과 제외)

    공통/일반선택과목(80%)

       국어, 수학, 영어, 사회 (한국사, 역사, 도덕 포함), 과학 중 상위 10과목

    진로선택과목(20%)

       국어, 수학, 영어, 사회 (한국사, 역사, 도덕 포함), 과학 중 상위 3과목

    의예과

    공통/일반선택과목(80%)

       국어, 수학, 영어, 과학 전과목

    진로선택과목(20%)

       국어, 수학, 영어, 과학 중 상위 3과목

    전 모집단위(의예과 포함)

    공통/일반선택과목(80%)

       국어, 수학, 영어, 사회(한국사, 역사, 도덕 포함), 과학 전과목

    진로선택과목(20%)

       국어, 수학, 영어, 사회(한국사, 역사, 도덕 포함), 과학 중 상위 3과목

     

     

     

     

     

    학교생활기록부

    교과 반영 방법

    변경

    전 모집단위(의예과, 간호학과 제외)

    국어, 수학, 영어, 탐구(/)1, 탐구(/)2 2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 또는 국어, 수학, 탐구(/)1, 탐구(/)2 1개 영역 2등급 이내

    간호학과

    국어, 수학, 영어, 탐구(/)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또는 국어, 수학 중 1개 영역 1등급

       탐구 상위 1과목 반영

    의예과

    국어, 수학, 영어, 과탐1, 과탐2 4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영어 2등급 및 한국사 4등급 이내

    전 모집단위(의예과, 간호학과 제외)

    국어, 수학, 영어, 탐구(/)1, 탐구(/)2 2개 영역 합 7 이내

     

     

    간호학과

    국어, 수학, 영어, 탐구(/)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탐구 상위 1과목 반영

     

    의예과

    국어, 수학, 영어, 과탐1, 과탐2 4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영어 2등급 및 한국사 4등급 이내

    대학수학능력시험 자격기준 변경

    학생부종합

    [강원인재(일반/한마음)전형]

    의예과

    국어, 수학, 영어, 과탐(2과목 평균등급) 중 수학을 포함하여 3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의예과

    국어, 수학, 영어, 과탐1, 과탐2 4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

       영어 2등급 및 한국사 4등급 이내

    의예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자격기준 변경

    치위생학과: 2

     

    신설

    학생부종합

    (사회통합전형)

    총 모집인원: 69

    자율융합계열: 30

    치위생학과: 2(신설)

    총 모집인원: 50

    자율융합계열: 15

     

    모집인원 조정

    논술

    [논술우수자(미래인재)전형]

    총 모집인원: 93

    자율융합계열: 87

    총 모집인원: 81

    자율융합계열: 75

    모집인원 조정

    자율융합계열

    국어, 수학, 영어, 탐구(/) 2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 또는 국어, 수학, 탐구(/) 1개 영역 2등급 이내

       탐구 상위 1과목 반영

    간호학과

    국어, 수학, 영어, 탐구(/)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또는 국어, 수학 중 1개 영역 1등급

       탐구 상위 1과목 반영

    자율융합계열

    국어, 수학, 영어, 탐구(/) 2개 영역 합 7 이내

       탐구 상위 1과목 반영

     

    간호학과

    국어, 수학, 영어, 탐구(/)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탐구 상위 1과목 반영

     

     

    논술

    [논술우수자(창의인재)전형]

    총 모집인원: 152

    자율융합계열: 58

    치위생학과: 4

    AI보건정보관리학과: 4

    총 모집인원: 146

    자율융합계열: 50

    치위생학과: 5

    AI보건정보관리학과: 5

    모집인원 조정

    의예과 수학과목 출제범위

    수학, 수학, 수학, 미적분, 기하, 확률과통계

    의예과 수학과목 출제범위

    수학, 수학, 수학, 미적분, 기하

     

    의예과 수학과목 출제범위 변경

    의예과 과학과목 출제범위

    과학과목 폐지

     

    의예과 과학과목 출제범위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중 택 1

    • Ⅱ 수준까지 출제될 수 있음

    의예과 과학과목 폐지

    의예과 시험시간: 100

    의예과 시험시간: 120

    의예과 시험시간 조정

    전 모집단위(의예과, 간호학과 제외)

    국어, 수학, 영어, 과탐 중 2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 또는 국어, 수학, 과탐 중 1개 영역 2등급 이내

       과탐 상위 1과목 반영

    간호학과

    국어, 수학, 영어, 과탐 중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또는 국어, 수학 중 1개 영역 1등급

       과탐 상위 1과목 반영

    전 모집단위(의예과, 간호학과 제외)

    국어, 수학, 영어, 과탐 중 2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

       과탐 상위 1과목 반영

     

    간호학과

    국어, 수학, 영어, 과탐 중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과탐 상위 1과목 반영

     

    대학수학능력시험 자격기준 변경

    수능

    []군일반전형

    총 모집인원: 115

    총 모집인원: 89

    모집인원 조정

    수능

    []군일반전형

    총 모집인원: 172

    총 모집인원: 182

    모집인원 조정

    수능

    []군강원인재(의예)전형

    의예과

    국어, 수학, 영어, 과탐(2과목 평균등급) 중 수학을 포함하여 3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대학수학능력시험 자격기준 추가

     

알림아이콘

2026학년도 전형평가기준 및 결과공개 자료입니다.

  • A

    제목 없음

    -1 2026학년도 전형별 주요사항

    [전형별 특성]

    전형별 주요사항

    학교생활우수자

    전형

    -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의예과 수능최저 적용)

    - 단계별 전형(1단계 서류평가, 2단계 면접)

    - 지원자의 학생부를 종합평가하여 모집인원의 350%를 면접대상자로 선발(의예과 600%)하여 1단계 평가 70% 면접 평가 30% 반영하여 총점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강원인재(일반)

    전형

    지역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의예과 수능최저 적용)

    일괄합산 전형: 서류(100), 의예과는 서류(80)+면접(20)

    지원자의 학생부를 종합평가하여 총점(의예과는 서류+면접)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강원인재(한마음)

    전형

    지역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전형으로 다른 학생들에 비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지만 학업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을 통해 우수한 성취를 이룬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의예과 수능최저 적용)

    일괄합산 전형: 서류(100), 의예과는 서류(80)+면접(20)

    지원자의 학생부를 종합평가하여 총점(의예과는 서류+면접)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사회통합전형

    사회공헌자 및 배려자 본인 또는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의예과 수능최저 적용)

    일괄합산 전형: 서류(100), 의예과는 서류(80)+면접(20)

    지원자의 학생부, 비교과활동기록표(국외고/검정고시)를 종합평가하여 총점(의예과는 서류+면접)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글로벌인재전형

    관련 전공분야에 적합한 적성 및 학업능력 등을 갖춘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

    단계별 전형(1단계 서류평가, 2단계 면접)

    지원자의 학생부, 비교과활동기록표(국외고/검정고시)를 종합평가하여 모집인원의 350%를 면접대상자로 선발하여 1단계 평가 70% 면접 평가 30% 반영하여 총점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기초생활연세한마음 전형

    다른 학생들에 비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지만 학업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을 통해 우수한 성취를 이룬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의예과 수능최저 적용)

    일괄합산 전형: 서류(100), 의예과는 서류(80)+면접(20)

    지원자의 학생부, 비교과활동기록표(국외고/검정고시)를 종합평가하여 총점(의예과는 서류+면접)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농어촌학생전형

    - 농어촌 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전형

    -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의예과 수능최저 적용)

    - 일괄합산 전형: 서류(100), 의예과는 서류(80)+면접(20)

    - 지원자의 학생부를 종합평가하여 총점(의예과는 서류+면접)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특성화고교졸업자 전형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

    일괄합산 전형: 서류(100)

    지원자의 학생부를 종합평가하여 총점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특수교육대상자 전형

    중증장애가 있으나 학업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을 통해 우수한 성취를 이룬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의예과 수능최저 적용)

    일괄합산 전형: 서류(100), 의예과는 서류(80)+면접(20)

    지원자의 학생부, 비교과활동기록표(국외고/검정고시)를 종합평가하여 총점(의예과는 서류+면접)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북한이탈주민 전형

    북한이탈주민 본인을 대상으로 선발하는 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의예과 수능최저 적용)

    일괄합산 전형: 서류(100), 의예과는 서류(80)+면접(20)

    지원자의 학생부, 비교과활동기록표(국외고/검정고시)를 종합평가하여 총점(의예과는 서류+면접)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

     

    [전형별 전형요소]

    구분

    전형방법

    비고

    모집

    인원

    선발방법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방법

    배수

    서류평가

    면접평가

    학교생활우수자 전형

    313

    1단계

    3.5

    (의예과:6)

    100

    -

    면접일정이 겹치치 않는 경우 전형별 1개 모집단위 지원가능

    , 강원인재(일반) 전형과 강원인재(한마음) 전형은 동시지원 불가

    2단계

    -

    70

    (1단계 성적)

    30

    (면접)

    강원인재(일반) 전형

    76

    일괄합산(의예과 제외)

    100

    -

    일괄합산(의예과)

    80

    20

    (면접)

    강원인재(한마음)전형

    4

    일괄합산(간호학과)

    100

    -

    일괄합산(의예과)

    80

    20

    (면접)

    사회통합전형

    69

    일괄합산(의예과 제외)

    100

    -

    일괄합산(의예과)

    80

    20

    (면접)

    글로벌인재전형

    51

    1단계

    3.5

    100

    -

    2단계

    -

    70

    (1단계 성적)

    30

    (면접)

    기초생활연세한마음전형

    30

    일괄합산(의예과 제외)

    100

    -

    일괄합산(의예과)

    80

    20

    (면접)

    농어촌학생전형

    35

    일괄합산(의예과 제외)

    100

    -

    일괄합산(의예과)

    80

    20

    (면접)

    특성화고졸업자 전형

    12

    일괄합산

    100

    -

    특수교육대상자 전형

    5

    일괄합산(의예과 제외)

    100

    -

    일괄합산(의예과)

    80

    20

    (면접)

    북한이탈주민 전형

    약간명

    일괄합산(의예과 제외)

    100

    -

    일괄합산(의예과)

    80

    20

    (면접)

    [서류평가]

      1) 서류평가 내용

    평가요소

    평가내용

    학업역량

    1. 학업태도와 학업의지

    자발적인 성취동기와 목표의식을 가지고 학습하려는 의지와 열정이 있는가?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자기주도적인 태도로 노력하고 있는가?

    고교 내 활동을 통해 지식의 폭을 확장하고 새로운 것을 창출하려고 노력하는가?

    수업에서 적극적이고 집중력이 있으며 스스로 참여하고 이해하려는 태도와 열정을 보이는가?

    2. 탐구활동

    탐구활동에서 표출되는 학문에 대한 열의와 관심을 가지는가?

    관심분야(계열)의 흥미, 학업적 목표는 어느 정도인가?

    고교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탐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다양한 탐구활동을 통해 창의적인 결과물을 산출하는가?

    3. 학업성취도

    대학 수학에 필요한 과목의 성적(등급,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 등)은 어느 정도인가?

    학업 및 다양한 탐구활동을 위한 과목 선택은 적절한가?

    관심분야와 관련된 과목은 다른 과목들에 비해 수준이 어떠한가?

    교과 외 비교과 활동에서도 학업 및 진로를 위한 노력이 보이는가?

    발전역량

    관심분야와 경험

    관심분야(계열)와 관련한 탐구 경험은 무엇이고, 노력 및 우수성은 어느 정도인가?

    관심분야(계열)와 관련한 활동이 교과/비교과에서 넓고 깊게 탐구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관심분야(계열)와 관련한 탐구 경험을 통해 장래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보이는가?

    기존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기 위해 노력하는가?

    자기주도성

    교내 다양한 활동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도적, 적극적으로 활동을 수행하는가?

    새로운 과제를 주도적으로 계획·실행·점검하여 성과를 산출하는가?

    어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능력을 발휘하거나 몰입한 경험이 있는가?

    본인의 활동과 노력이 주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장기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실천한 경험이 있는가?

    교내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가?

    주어진 상황 속에서 스스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도전정신을 발휘한 경험이 있는가?

    공동체역량

    공동체 협업능력

    학교나 학급, 팀 등에서 공동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헌신한 경험이 빈번한가?

    공동체의 구성원들로부터 믿음직한 리더나 동료로 인정받고 있는가?

    과제 수행이나 활동 과정에서 자발적인 협력 경험이 자주 드러나는가?

    구성원들의 협력을 촉진하거나 강등을 해소하여 협동을 이끌어낸 경험이 있는가?

    책임감과 성실성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활동 과정에서 담당한 일을 꾸준하게 수행하는가?

    자신의 관심사 해결이나 진로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수행한 경험이 있는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여도 일관된 모습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가?

    출결상황이나 단체 활동 참여 등 학생으로서 직분을 책임감 있게 수행하는가?

    소통능력

    구성원의 화합과 단결을 이끌어가기 위한 리더십 또는 팔로우십은 어느정도인가?

    학습이나 다양한 활동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는가?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는가?

    모둠활동, 공동과제 수행에서 타인을 존중하고 공감적 이해 경험을 보이는가?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노력을 기울이는가?

     

    2) 전형별 서류평가 평가요소 비율

    구분

    내용

    서류평가 평가요소별 비율

    구분

    학업역량

    발전역량

    공동체역량

    학교생활우수자전형

    글로벌인재전형

    30

    50

    20

    강원인재(일반/한마음)전형

    사회통합전형

    기초생활연세한마음전형

    농어촌학생전형

    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

    특수교육대상자전형

    북한이탈주민전형

    50

    20

    30

    학생부종합 전형의 서류평가는 동일한 배점을 적용함

     

    [면접평가]

    해당전형

    학교생활우수자 전형(의예과 제외)

    진행방법

    평가위원 2/ 개별면접

    면접시간

    10

    출제방식

    제시문 기반의 인성 및 가치관 평가 / 2문제

     

    평가요소(비율)

    평가항목

    면접문항(예시)

    평가방법

    인성 및 가치관

    (50)

    사회구성원으로서 윤리의식, 배려심 정도를 평가함

    공동체 일원으로서 협업능력, 책임감, 소통능력 정도를 평가함

    문제 1아래의 제시문을 잘 읽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 기업 총수는 부패한 유력 정치인과의 뒷거래로 정부의 묵인 속에 불법적으로 사업을 확장한다. 거대 언론사의 논설위원은 정경유착으로 성장한 이 기업으로부터 막대한 뇌물을 받고 기업의 부당한 정치적 특혜와 불법적 경영을 은폐하고 옹호하는 칼럼을 쓴다. 어느 날 공익제보자가 해당 기업과 정치인의 부당거래를 폭로하자 성난 민심으로 여론은 급격히 나빠진다. 영화 <내부자들>에서 이 논설위원은 비리 기업의 총수를 안심시키고자 이렇게 말한다: "어차피 대중들은 개, 돼지들입니다. 뭐하러 개, 돼지들에게 신경 쓰고 그러십니까. 적당히 짖어 대다가 알아서 조용해질 겁니다."

     

    [] 미래의 어느 군대에서 주인공은 특수 개발된 전투보조 시스템을 머리에 장착한 채 '바퀴벌레'라 불리는 존재들로부터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색출 및 사살 임무를 부여받는다. 피아식별은 물론 마치 게임을 하듯 적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고 섬멸하도록 도와주는 이 장치 덕분에 주인공은 손쉽게 '바퀴벌레'들을 소탕한다. 흉측한 모습으로 고함만 지를 뿐 별다른 무기도 없고 저항도 하지 않은 그 '괴물'들의 행동이 의아했지만, 주인공은 주어진 임무에 따라 발견 즉시 그들을 사살한다. 하지만 작전 수행 중 전투보조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면서 주인공은 뒤늦게 깨닫게 된다. 그 괴물들이 사실은 자신과 같은 평범한 인간이었음을. 전투력 향상을 목적으로 장착했던 전투보조 시스템이 가상 현실 속 게임처럼 특정 인종이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괴물처럼 보이도록 뇌에 신호를 보냈던 것이다. 단편영화 <인간과 학살>의 이 이야기에서 진실을 마주한 주인공은 다음과 같이 자문한다: "내가 죽인 것은 사람인가, 괴물인가?"

     

    [] 1975, 철학자 피터 싱어가 출간한 <동물 해방>을 계기로 모든 동물이 존중받고 고통받지 않을 권리를 의미하는 동물권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 책은 동물에 대한 잔혹 행위를 금지하는 범세계적 운동을 촉발했고, 동물 학대의 배후에 깔린 '종차별주의'인간이 동물의 위계를 정하고 비인간을 차별하기 위해 고안한 신념 체계를 비판했다. 더 나아가, 최근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은 인간과 비인간 간의 관계를 새롭게 정의하며,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는 새로운 사유를 촉구한다. 비인간 주체는 동식물뿐만 아니라 사물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우리가 흔히 도구로 생각하고 대상화하는 사물도 능동성을 가진 고유한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문제 1-1) 제시문 [][]에서 인간에 의해서 타자가 어떻게 비인간화되고 있는지를 설명하시오.

     

    (문제 1-2) 제시문 [][]에서 나타나는 타자의 비인간화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자세가 필요한지 제시문 []를 참고하여 설명하시오.

    인성 및 가치관

    (50)

    사회 및 자연계열 지문에 대한 이해력 정도를 평가함

    그래프 및 통계표에 대한 분석력, 사고력 정도를 평가함

    문제 2다음의 각 제시문을 읽고 질문에 답하시오.

     

    [] 미세플라스틱은 직경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로, 주로 대형 플라스틱의 분해, 세탁 시 미세 섬유 유출, 자동차 타이어의 마모, 미세플라스틱 함유 제품의 사용 등에서 발생한다(그림 참고). 현재 바다와 토양, 대기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며, 생태계와 인체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2,590개 이상의 연구를 검토 분석한 WWF(세계자연기금)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 당장 전 세계적인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를 줄이지 않으면 플라스틱 오염 심화로 인해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한 현재의 노력에 심각한 타격을 주며 많은 지역이 생태적 위기를 겪을 것이라고 밝혔다. 21세기 말까지 그린란드 면적의 2.5배가 넘는 해양 지역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양이 50배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어느 정도를 넘어서면 생태적으로 생명이나 자연환경을 유지하는 데 상당한 위협을 받는 생태적 위험 한계선을 넘게 될 것이라는 경고도 덧붙였다. 이는 2040년까지 플라스틱 생산량이 2배 이상 증가하여 2050년에는 바닷속 플라스틱 쓰레기가 4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0dc566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93pixel, 세로 691pixel

    [] 미세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이 여러 가지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첫째, 미세플라스틱은 매우 작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여, 이를 탐지하고 측정하는 데 기술적 한계가 있다.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제거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작업이다. 둘째, 플라스틱 제품의 광범위한 사용이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일회용 플라스틱과 합성 섬유 의류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미세플라스틱의 발생량도 늘어나고 있다. 셋째, 각국의 규제와 정책이 상이하여, 국제적으로 통일된 대응책 마련이 어렵다.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글로벌 협력이 필요하지만, 경제적 이해관계와 소비자 행동이 제약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 대중의 인식 부족도 큰 문제이다. 많은 사람들이 미세플라스틱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개인의 행동이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세플라스틱의 생태계 및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아직 충분하지 않아, 효과적인 해결 방안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세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접근, 정책적 변화, 대중의 인식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 오늘날 지구촌 곳곳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심화하면서 생태계의 안정이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려면 정부와 시민 단체, 기업, 개인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문제 2-1) 제시문 [][]의 주제는 무엇이지, 내용을 요약하여 설명하시오.

     

    (문제 2-2) 제시문 [][]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시문 []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시오.

     

    해당전형

    의예과 (학교생활우수자전형, 강원인재(일반/한마음)전형, 사회통합전형, 기초생활연세한마음전형, 농어촌학생전형, 특수교육대상자전형, 북한이탈주민전형)

    진행방법

    평가위원 2/ 개별면접

    면접시간

    10

    출제방식

    제시문 기반의 의학적인성 평가 / 2문제

     

    평가요소(비율)

    평가항목

    면접문항(예시)

    평가방법

    의학적인성

    (생명윤리)

    (50)

     

    생명과 생명존중에 대한 도덕적 판단 능력 및 사회적 책임감 정도를 평가함

    환자 중심적 사고 및 생명윤리적 배려심 정도를 평가함

    질문에 대한 이해력 및 답변의 논리력 정도를 평가함

    문제 1아래의 제시문을 잘 읽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 비첨(Beauchamp)과 칠드리스(Childress)가 발표한 생명의료윤리 4원칙 중 정의의 원칙은 의료자원을 정의롭고 공정하게 배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배적 정의란 사회적 이익과 부담을 공정하게 분배하는 것을 뜻한다. 분배하는 기준은 다양한데,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적용하는 절대적 평등에 따른 분배, 각자의 필요에 따른 분배, 능력에 따른 분배, 공리주의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한 분배 등이 있다. 각각의 분배 기준은 정의로운 분배를 위해 보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렵고 서로 충돌하는 한계점이 있다. 롤스(Rawls)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공정한 절차를 통해 발생한 결과는 정당하다는 절차적 정의를 주장하였다. 노직(Nozick)은 자유 지상주의적 입장에서 개인의 소유 권리를 보호하고 존중하는 것을 정의라고 보고, 국가에 의한 재분배는 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왈처(Walzer)는 정의의 기준이 공동체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영역에 따라 다른 정의의 기준을 적용하는 다원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공개한 국민관심질병통계에 의하면 2023년 감기로 의료기관을 찾은 사람은 1,900만명이 넘고 총 의료비 약 12,461억원 중 건강보험 재정에서 투입된 금액은 약 3,067억원이다. 같은 기간 암질환은 약 195만명의 총액 약 101,552억 중 약 1548억원이 건강보험에서 지출되었다. 감기는 환자 수가 많아서, 암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어서 모두 중요한 질병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정된 건강보험 재정 상황에서 모든 질병을 동일하게 보기는 어렵다.

     

    [] 원샷 치료제 혹은 꿈의 치료제라 불리는 초고가 신약들이 속속들이 등장하고 있다. 원샷 치료제라는 별명이 붙은 이유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해 병의 원인인 유전자를 대체해 단 한 번의 치료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치병처럼 여겨졌던 유전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가 드디어 나왔지만, 이 약들에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환자들은 그토록 기다린 치료제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희귀 유전질환인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참고 1)을 치료할 수 있는 약이 약 30억원, B형 혈우병(참고 2) 치료제는 약 47억원에 이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자 수가 매우 적은 질환들에 공공의 건강보험 재정을 투입하는 것에 대해 모두가 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 1 :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유전자의 염기 하나가 돌연변이로 바뀜으로써 적혈구가 낫 모양으로 변하여 쉽게 파괴되어 심각한 빈혈을 유발하는 질환)

    (참고 2 : 유전자 이상으로 혈액 응고 인자가 선천적으로 결핍되어 계속적인 출혈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

     

    (문제 1-1) 제시문 []에 근거하여 지원자가 생각하는 의료자원의 정의로운 분배 기준을 이유와 함께 설명하시오.

     

    (문제 1-2) 제시문 [][] 각각에서 의료자원 분배 시 대립되는 가치를 제시하고, 지원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의료자원의 분배 방향을 (문제 1-1)에서 지원자가 제시한 기준을 토대로 설명하시오.

    의학적인성

    (직업윤리)

    (50)

    의료 전문직에 대한 소명의식 및 윤리의식 정도를 평가함

    의료 행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능력 정도를 평가함

    상황에서의 적절한 의사결정 및 융합적-창의적 사고력 정도를 평가함

    문제 2아래의 제시문을 잘 읽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 A 판사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 등 이용 촬영·반포 등) 혐의로 기소된 의대생에게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학교라는 특수성 있는 공간에서 친구들을 대상으로 범죄를 저질렀고, 의대생에 대한 사회적 기대나 신뢰를 저버렸다는 점에서 죄질이 좋지 않다고 하였다.

     

    [] 의대생이 여자친구를 폭행하고 음주운전으로 사람을 다치게 한 혐의로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사건과 관련해 의사가 되게 하면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강간, 폭행, 음주운전 의대생은 의사가 되면 안 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글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이런 가벼운 처벌 때문에 성폭행을 저지른 사람이 앞으로 의사가 되어 환자를 본다고 생각하면 한 사람의 시민으로 위협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분노했다.

     

    [] 2024년 의정사태가 발생한 이후 일부 병원에서 예약된 진료나 응급실 진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의사·의대생 커뮤니티에 의대생이 올린 조선인이 응급실 돌다 죽어도 아무 감흥이 없음, 더 죽어서 뉴스에 나와줬으면 하는 마음뿐임그리고 ‘(개돼지들이) 죽음에 대한 공포로 온몸이 마비되고, 의사에게 진료받지 못해서 생을 마감할 뻔한 경험들이 여럿 쌓이고 쌓여야 생명을 다루는 의사에 대한 감사함과 존경심을 갖게 된다.’라는 글이 공분을 샀다. ‘이런 자가 의사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 인성 평가에서 자격 미달되는 자는 의사고시를 못 보게 해야 한다는 댓글은 많은 공감을 얻었다.

     

    (문제 2-1) 제시문 [], [], [] 각각에서 판사나 일반인들이 의대생에 대해 밑줄과 같이 말하거나 생각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문제 2-2) 면접관이 사전에 준비된 추가 질문을 할 것입니다.

     

    (추가 질문; 수험생용 문제지에서는 삭제) 의대생에게도 의사에게 요구되는 수준의 직업윤리가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그 이유를 두 가지 이상 말해보십시오.

     

    해당전형

    글로벌인재전형

    진행방법

    평가위원 2/ 개별면접

    면접시간

    10

    출제방식

    제시문 기반의 인성 및 가치관, 논리적 사고력 평가

    동아시아국제학부는 영문 제시문, 글로벌엘리트학부는 국문, 영문 제시문 모두 제공

    평가방법

    평가요소(비율)

    평가항목

    면접문항(예시)

    인성 및 가치관

    (30)

    사회구성원으로서 윤리의식, 배려심 정도를 평가함

    공동체 일원으로서 협업능력, 책임감, 소통능력 정도를 평가함

    동아시아국제학부: 영어구사능력도 평가함

    위 평가기준을 근거로 하되, 출제문항에 따라 출제위원회에서 작성한 세부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함

    Question 1 Please read the two passages below and answer each question.

     

    [A]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mong 50,000 student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who have suffered from school violence, 10.8 percent experienced cyberbullying. The ratio was higher than those who suffered physical violence, 10 percent. On Sept. 2, a high school student in Jecheon, North Chungcheong Province, committed suicide after receiving constant threats from her peers. The method of cyberbullying varies by platforms, such as leaving a student out from a KakaoTalk group chat room among classmates, ordering students to do something through text message, spreading personal information to others through social media or verbally* abusing** others during online games.

    *verbally: in a way that is spoken rather than written

    **abuse: treat (a person or an animal) with cruelty or violence, especially regularly or repeatedly

     

    [B] Major K-pop agencies such as JYP Entertainment, YG Entertainment and Cube Entertainment have declared war on deepfake* visual content created using images of their K-pop artists. This comes at a time when deepfake crimes have attracted renewed attention in South Korea, after the revelation of online rooms in which users shared AI-generated pornographic videos of acquaintances**.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for K-pop singers to fall victim to deepfake pornography,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YG Entertainment announced on Sept. 2 that it was taking legal action against these activities. “We are actively monitoring this widespread and malicious*** illegal activity, and making efforts to delete such illegal videos. We are also taking all possible legal actions. We will continue to respond strictly to all illegal activities that seriously harm the reputation of our artists,” said YG Entertainment in a public statement. (G)I-dle, NewJeans, Twice, Kwon Eun-bi and Blackpink are just a few of the artists who are victims of deepfake pornography.

    *deepfake: fake photos, videos, and audio that are generated from their original sour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quaintance: someone you know, but who is not a close friend

    ***malicious: having or showing a desire to cause harm to someone

     

    (Question 1-1) Summarize the passage [A] and state your opinion on what people can do to stop cyberbullying.

     

    (Question 1-2) Summarize the passage [B] and explain the meaning of the phrase underlined.

     

    문제 1 아래의 제시문을 잘 읽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A] 교육부의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교폭력을 당한 적이 있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5만 명 중 10.8%가 사이버 괴롭힘을 경험했습니다. 이 비율은 신체적인 폭력을 당한 학생(10%)보다 높았습니다. 지난 92일에는 충북 제천의 한 고등학생이 또래 친구들로부터 지속적인 협박을 받고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사이버 괴롭힘의 방법은 반 친구들이 있는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에 특정 학생을 제외시키거나 문자 메시지를 통해 무언가를 하도록 지시하거나, 소셜 미디어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개인 정보를 퍼뜨리거나 온라인 게임 중에 다른 사람에게 폭언을 하는 등 플랫폼마다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B] JYP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큐브 엔터테인먼트 등 주요 케이팝 에이전시들이 소속 케이팝 아티스트의 이미지를 이용해 제작한 딥페이크 비주얼 콘텐츠에 대한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이는 AI로 생성한 지인들의 포르노 동영상을 공유하는 온라인방이 공개된 이후, 국내에서 딥페이크 범죄가 다시 주목받고 있는 시점에 나온 것입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케이팝 가수들이 딥페이크 포르노의 희생양이 되는 것이 점점 더 흔한 일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YG 엔터테인먼트는 92일 이러한 활동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광범위하고 악의적인 불법 행위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법 동영상을 삭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능한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아티스트의 평판을 심각하게 해치는 모든 불법 행위에 대해 앞으로도 엄격하게 대응할 것입니다.”라고 YG 엔터테인먼트는 공개 성명을 통해 밝혔습니다. (여자)아이들, 뉴진스, 트와이스, 권은비, 블랙핑크는 딥페이크 포르노 피해자 아티스트 중 일부에 불과합니다.

     

    (문제 1-1) 제시문 A를 요약하고 사이버 괴롭힘을 막기 위해 어떤 것들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시오.

     

    (문제 1-2) 제시문 B를 요약하고, 밑줄 친 부분의 의미를 설명하세요.

    논리적사고력

    (70)

    사회계열 지문에 대한 이해력 정도를 평가함

    그래프 및 통계표에 대한 분석력, 논리적 사고력 정도를 평가함

    위 평가기준을 근거로 하되, 출제문항에 따라 출제위원회에서 작성한 세부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함

    Question 2 Please read the two passages below and answer each question.

     

    [A] After initially suggesting that he wanted to impose 10 percent tariffs* on all imported goods to the United States, Mr. Donald Trump -- Republican candidate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scheduled on November 05, 2024 -- has recently announced that the tariffs could be as high as 20 percent. For Chinese imports, he has talked about imposing tariffs up to 60 percent.

     

    [B] The US government** estimates that Chinese imports caused roughly two million manufacturing jobs to disappear in the United States over last two decades. Cheap prices were the main reason that made Chinese goods attractive to American consumers. As a result, many companies competing with Chinese imports found their profits shrinking. Some of them were forced to cut jobs and even went out of business. High tariffs may help protect American businesses and workers, leading to restor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C] Critics have been worried about the costs of Mr. Trump’s trade policy. The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 a think tank in Washington D.C. -- calculates that Mr. Trump’s new tariffs would increase the overall prices of imported goods in the United States, triggering a rise of up to $2,600 in what the average household spends on consumption per year. In particular, high tariffs would hurt low-income households by increasing their living costs. Mr. Trump’s policy would also hamper*** economic growth. For instance, rising prices from high tariffs would discourage consumer spending and business investment. Foreign governments would also respond by introducing high tariffs on American exports.

     

    * tariff: taxes on goods coming into a country or going out of a country

    ** US government: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 hamper: make it difficult for someone to do something

     

    (Question 2-1) Summarize the main contents from each passage.

     

    (Question 2-2) What is your opinion on protective trade policy? Support your idea with concrete examples.

     

    문제 2다음의 각 제시문을 읽고 질문에 답하시오.

     

    [A]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제안한 바 있는 도날드 트럼프 공화당 대통령 후보는 최근 20%의 보호 관세도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특히 중국에서 수입되는 주요 상품에 대해 최고 6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B] 미국 정부의 분석에 따르면, 중국산 수입품의 증가로 인해 지난 20년간 미국에서 약 2백만 개의 일자리가 소멸되었다. 중국산 수입품이 미국의 소비자에게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이유는 주로 저렴한 가격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국의 많은 기업들이 판매실적 부진에 따라 이윤의 감소를 경험하였고, 일부는 대량 해고 혹은 폐업을 결정하였다. 트럼프 후보의 무역정책은 미국의 기업과 노동자를 보호하고 나아가 제조업을 부활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C] 트럼프 후보의 무역정책은 미국 경제에 커다란 손실을 초래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워싱턴 D.C.의 싱크 탱크인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트럼프의 높은 관세는 미국의 수입품 가격을 상승시켜, 가구당 소비지출 비용을 매년 2,600달러 정도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생계비용 상승으로 인해 저소득 계층이 집중적으로 피해를 입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트럼프 후보의 무역정책은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높은 관세에 따른 물가상승이 소비와 산업투자를 위축시키고, 경쟁국들도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고율의 보복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우려되었다.

     

    (문제 2-1) 각 제시문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시오.

     

    (문제 2-2) 보호무역정책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이를 뒷받침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시오.

     

    [교과영역 평가 방법]

    * 학생부 교과성적 학년별 반영비율 및 반영방법

    구분

    교과성적

    1학년

    2학년

    3학년

    비고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학생부종합

    전체 전형

    정성평가

    학년별 차등 없이 반영

    반영

    안함

    졸업생의 경우 3학년 2학기까지 평가 반영

     

    * 모집단위(계열)별 반영 교과 및 반영방법

    구분

    모집단위

    반영 교과 영역

    반영지표

    반영과목 수

    학생부종합

    전체 전형

    전 모집단위

    전과목

    학생부 전 영역 정성평가

    전과목

     

  • A

    제목 없음

    대학별 산출방식과 환산점수의 차이로 대학별 입시결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습니다.

      1) 충원합격 순위: 최종합격한 충원합격자의 마지막 순위

      2) 최종등록자: 최초합격자 및 충원합격자 중 등록자

      3) 50%: 예시 100명 중 50등의 점수

      4) 70%: 예시 100명 중 70등의 점수

      5) 학생부등급: 각 모집단위별 학생 평가에 반영된 교과목의 학생부 평균등급

         (소수 세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6) 50% cut: 평가에 반영된 학생부 교과목 성적 순으로 최종등록자 중 50%

         해당하는 등록자의 학생부 평균등급(교과목 성적 100명 중 50등 점수)

         [소수점인 경우 버림 등수(예시: 최종등록자 7명의 경우 3등의 점수)]

      7) 70% cut: 평가에 반영된 학생부 교과목 성적 순으로 최종등록자 중 70%

         해당하는 등록자의 학생부 평균등급(교과목 성적 100명 중 70등 점수)

         [소수점인 경우 버림 등수(예시: 최종등록자 7명의 경우 4등의 점수)]    

    [2025학년도]

    모집단위

    학교생활우수자전형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

    합격

    순위

    최종등록자 교과성적 학생부등급

    평가에

    반영된

    교과목

    50% cut

    70% cut

    자율융합계열

    155

    5.43

    86

    4.6

    5

    전과목

    AI반도체학부

    10

    4.9

    6

    4.66

    4.91

    전과목

    데이터사이언스학부

    11

    4.45

    6

    4.88

    4.93

    전과목

    소프트웨어학부

    32

    4.41

    17

    4.55

    4.81

    전과목

    디지털헬스케어학부

    14

    4.71

    5

    4.48

    4.85

    전과목

    디자인예술학부

    22

    7.64

    13

    3.93

    4.24

    전과목

    임상병리학과

    10

    6.7

    0

    2.72

    3.01

    전과목

    물리치료학과

    6

    10

    1

    2.95

    3.07

    전과목

    작업치료학과

    6

    7.83

    1

    3.88

    3.88

    전과목

    방사선학과

    6

    12.5

    0

    2.84

    3.37

    전과목

    치위생학과

    9

    5.78

    1

    3.61

    3.7

    전과목

    AI보건정보관리학과

    5

    5.4

    2

    3.75

    3.86

    전과목

    의예과

    15

    23.07

    5

    1.34

    1.47

    전과목

    간호학과

    7

    11

    5

    2.47

    2.47

    전과목

     

    모집단위

    강원인재(일반)전형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

    합격

    순위

    최종등록자 교과성적 학생부등급

    평가에

    반영된

    교과목

    50% cut

    70% cut

    자율융합계열

    20

    4.15

    17

    3.95

    4.36

    전과목

    AI반도체학부

    3

    3.33

    0

    3.95

    4.36

    전과목

    소프트웨어학부

    5

    3.2

    8

    4.07

    4.07

    전과목

    디지털헬스케어학부

    3

    3

    2

    4.2

    4.49

    전과목

    임상병리학과

    3

    4.33

    2

    2.66

    3.29

    전과목

    물리치료학과

    3

    4.33

    0

    2.36

    2.61

    전과목

    작업치료학과

    3

    2.33

    1

    3.37

    4.49

    전과목

    방사선학과

    3

    4.67

    1

    3.16

    3.76

    전과목

    AI보건정보관리학과

    3

    6.33

    2

    4.14

    4.21

    전과목

    의예과

    27

    11.11

    7

    2.19

    4.65

    전과목

    간호학과

    7

    4.86

    4

    2.91

    2.93

    전과목

     

    모집단위

    강원인재(한마음)전형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

    합격

    순위

    최종등록자 교과성적 학생부등급

    평가에

    반영된

    교과목

    50% cut

    70% cut

    의예과

    3

    2

    0

    -

    -

    전과목

    간호학과

    1

    8

    0

    2.96

    2.96

    전과목

     

    모집단위

    사회통합전형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

    합격

    순위

    최종등록자 교과성적 학생부등급

    평가에

    반영된

    교과목

    50% cut

    70% cut

    자율융합계열

    15

    8.87

    7

    4.09

    4.26

    전과목

    AI반도체학부

    3

    6.33

    0

    2.44

    4.51

    전과목

    소프트웨어학부

    5

    7

    1

    3.86

    3.98

    전과목

    디지털헬스케어학부

    3

    6

    2

    3.87

    4.43

    전과목

    디자인예술학부

    3

    10.33

    4

    1.89

    3.46

    전과목

    임상병리학과

    3

    11.33

    0

    2.7

    2.88

    전과목

    물리치료학과

    3

    15

    2

    2.95

    3.27

    전과목

    작업치료학과

    3

    6

    2

    3.52

    3.83

    전과목

    방사선학과

    3

    10.67

    0

    3.22

    3.61

    전과목

    AI보건정보관리학과

    3

    6

    5

    3.76

    4.24

    전과목

    의예과

    3

    37.67

    2

    1.2

    1.52

    전과목

    간호학과

    3

    15

    1

    2.64

    2.65

    전과목

     

    모집단위

    글로벌인재전형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

    합격

    순위

    최종등록자 교과성적 학생부등급

    평가에

    반영된

    교과목

    50% cut

    70% cut

    동아시아국제학부

    46

    3.8

    20

    5.22

    6.11

    전과목

    글로벌엘리트학부

    5

    2.6

    0

     

     

    전과목

    글로벌엘리트학부는 해외고 출신자 전형으로 학생부등급 산출 불가

     

    모집단위

    기초생활연세한마음전형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

    합격

    순위

    최종등록자 교과성적 학생부등급

    평가에

    반영된

    교과목

    50% cut

    70% cut

    자율융합계열

    13

    4.69

    9

    4.9

    5.15

    전과목

    AI반도체학부

    1

    6

    0

    5.37

    5.37

    전과목

    소프트웨어학부

    2

    6

    1

    4.72

    4.72

    전과목

    디지털헬스케어학부

    2

    6

    2

    4.06

    4.06

    전과목

    디자인예술학부

    2

    7

    0

    4.69

    4.69

    전과목

    임상병리학과

    2

    7.5

    0

    3.07

    3.07

    전과목

    물리치료학과

    2

    9

    1

    3.27

    3.27

    전과목

    작업치료학과

    2

    5.5

    2

    4.06

    4.06

    전과목

    AI보건정보관리학과

    1

    7

    0

    3.46

    3.46

    전과목

    의예과

    1

    33

    0

    1.81

    1.81

    전과목

    간호학과

    2

    12.5

    0

    2.79

    2.79

    전과목

    모집단위

    농어촌학생전형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

    합격

    순위

    최종등록자 교과성적 학생부등급

    평가에

    반영된

    교과목

    50% cut

    70% cut

    자율융합계열

    16

    5.31

    28

    4.31

    4.43

    전과목

    AI반도체학부

    1

    5

    0

    4.2

    4.2

    전과목

    소프트웨어학부

    2

    5.5

    1

    4.37

    4.37

    전과목

    디지털헬스케어학부

    2

    6

    4

    3.23

    3.23

    전과목

    디자인예술학부

    2

    7

    3

    4.61

    4.61

    전과목

    임상병리학과

    2

    6

    0

    2.19

    2.19

    전과목

    물리치료학과

    2

    9.5

    0

    2.24

    2.24

    전과목

    작업치료학과

    2

    9

    5

    3.47

    3.47

    전과목

    AI보건정보관리학과

    1

    9

    0

    -

    -

    전과목

    의예과

    3

    17.67

    0

    1.29

    1.47

    전과목

    간호학과

    2

    9

    0

    2.55

    2.55

    전과목

     

    모집단위

    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

    합격

    순위

    최종등록자 교과성적 학생부등급

    평가에

    반영된

    교과목

    50% cut

    70% cut

    자율융합계열

    10

    8.2

    27

    2.19

    2.3

    전과목

    디자인예술학부

    2

    8

    0

    1.96

    1.96

    전과목

     

    모집단위

    특수교육대상자전형

    모집인원

    경쟁률

    충원

    합격

    순위

    최종등록자 교과성적 학생부등급

    평가에

    반영된

    교과목

    50% cut

    70% cut

    자율융합계열

    2

    1.5

    0

    5.68

    5.68

    전과목

    방사선학과

    1

    2

    5

    8.74

    8.74

    전과목

    북한이탈주민전형은 최종등록자 없음

알림아이콘

2026학년도 전형평가기준 및 결과공개 자료입니다.

  • A

    제목 없음

    -1 2026학년도 전형별 주요사항

    [전형별 특성]

    전형별 주요사항

    교과우수자(추천형)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미적용(, 의예과 적용)

    교과 성적 우수자를 선발하는 전형

    학교장 추천(인원제한 없음)을 받은 학생만 지원 가능

    일괄합산 전형

    교과우수자(일반형)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교과 성적 우수자를 선발하는 전형

    일괄합산 전형

     

    [전형별 전형요소]

    구분

    전형방법

    비고

    모집

    인원

    선발방법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방법

    배수

    학생부

    면접

    교과우수자(추천형)전형

    148

    일괄합산(의예과 제외)

    100

     

     

    일괄합산(의예과)

    80

    20

     

    교과우수자(일반형)전형

    210

    일괄합산(의예과 제외)

    100

     

     

    일괄합산(의예과)

    80

    20

     

     

    [교과영역 평가방법]

    * 학생부 교과성적 학년별 반영비율 및 반영방법

    구분

    교과성적

    1학년

    2학년

    3학년

    비고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교과우수자(추천형)전형

    100%

    100%

    반영

    안함

    졸업생의 경우 3학년 2학기까지 성적 반영

    교과우수자(일반형)전형

    100%

    100%

    반영

    안함

    졸업생의 경우 3학년 2학기까지 성적 반영

     

    * 교과 성적 반영 교과목 및 성적 반영 방법

    구분

    공통과목, 일반선택과목

    진로선택과목

    반영과목

    1. 교과우수자(추천형)전형

    - 국어, 수학, 영어, 사회(한국사, 역사, 도덕 포함), 과학 전체 과목

    2. 교과우수자(일반형)전형

    . 전 모집단위(의예과 제외)

      - 국어, 수학, 영어, 사회(한국사, 역사, 도덕 포함), 과학 중 상위 10개 과목

    . 의예과

      - 국어, 수학, 영어, 과학 전체 과목

    1. 교과우수자(추천형)전형

    - 국어, 수학, 영어, 사회(한국사, 역사, 도덕 포함), 과학 중 상위 3과목

    2. 교과우수자(일반형)전형

    . 전 모집단위(의예과 제외)

      - 국어, 수학, 영어, 사회(한국사, 역사, 도덕 포함), 과학 중 상위 3개 과목

    . 의예과

      - 국어, 수학, 영어, 과학 중 상위 3개 과목

    반영지표

    석차등급,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 석차, 성취평가, 평어

    성취도

    원점수, 석차등급(성취도 미기재 과목)

    반영비율

    80%

    20%

    산출방법

           (반영교과 과목별 환산점수

             X 과목별 이수단위)의 합 X 0.8

        반영교과 전체 과목 이수단위 총합

       (반영교과 환산점수 중 상위 3과목

             X 과목별 이수단위)의 합 X 0.2

          반영교과 3과목 이수단위 총합

     

    * 교과 영역 등급 및 점수표(대학별 기준)

    구분

    과목별 석차등급 점수

    과목별 성취평가

    등급 및 점수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A

    B

    C

    학생부교과전형

    100

    97

    94

    90

    86

    76

    60

    40

    10

    100

    80

    50

     

    * 학생부 교과성적 산출방법

    학생부 교과성적 산출방법

    . 반영학기

      1) 재학생: 3학년 1학기

      2) 졸업생: 3학년 2학기

     

    . 반영비율

      1) 학년별 반영비율: 전 학년(100%)

      2) 반영교과: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과목 반영

                  (성적반영 인정과목 참조)

      3) 교과구분별 반영비율

       ) 공통/일반선택과목: 80%

       ) 진로선택과목: 20%

     

    . 교과성적 산출방법

      1) 공통과목/일반선택과목 과목별 성적계산

       ) 과목별 성적계산 반영표

    구분

    교과성적 기재형태

    점 수

    우선

    순위

    석차등급

    100

    97

    94

    90

    86

    76

    60

    40

    10

    국내고

    1

    석차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2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

    3.00 ~

    1.76

    1.75 ~

    1.23

    1.22 ~

    0.74

    0.73 ~

    0.26

    0.25 ~

    -0.25

    -0.26 ~ -0.73

    -0.74 ~

    -1.22

    -1.23 ~

    -1.75

    -1.76 ~

    -3.00

    3

    석차

    4%이하

    4%초과

    11%이하

    11%초과

    23%이하

    23%초과

    40%이하

    40%초과

    60%이하

    60%초과

    77%이하

    77%초과

    89%이하

    89%초과

    96%이하

    96%초과

    100%이하

    4

    성취평가

     

    A

    (A+,A0,A-)

     

    B

    (B+,B0,B-)

     

    C

    (C+,C0,C-)

     

    D

    (D+,D0,D-)

    E, F

    5

    평어

     

     

     

     

     

       ) 과목별 점수 계산 방법(반영표 상의 구분별 기준을 반영하여 점수 환산)

        (1) 석차등급이 있는 경우: 과목별 석차등급 및 이수단위 반영

        (2) 석차등급이 없는 경우

          () 과목점수, 평균, 표준편차가 있는 경우

              표준점수(Z) = (과목점수 평균) ÷ 표준편차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과목점수, 평균, 표준편차가 없고, 석차 등급란에 이수, P, 방점(*) 등만 표기된 경우 성적 미반영

          () 석차, 성취도, 평어가 있는 경우(일부 학년 등 포함)

              석차백분율로 과목 석차등급 산출, 교과 성적 산출방식에 의거 등급점수를 환산하여 적용

              석차백분율=[{과목석차 + (동 석차 인원수-1) ÷ 2} ÷ 과목이수학생수] × 100

              석차가 없고 성취도, 평어가 있는 경우: 성취도 활용

              석차, 성취도가 없고 평어만 있는 경우: 평어 활용

       ) 공통/일반선택과목 총점

              

        

      2) 로선택과목 과목별 성적계산

       ) 상위 3과목 반영

       ) 성취도 평가 반영 방법

        (1) 3단계 평가의 경우: A=100, B=80, C=50

        (2) 5단계 평가의 경우: A=100, B=90, C=80, D=70, E=50

       ) 진로선택과목은 성취도 반영이 원칙이나 성취도 미기재 시 다음과 같이 반영함

        (1) 등급 기준: 1~3등급=A, 4~6등급=B, 7~9등급=C

        (2) 원점수 기준: 80점 이상=A, 60점 이상=B, 60점 미만=C

        (3) 등급 기준 점수와 원점수 기준 점수 중 높은 점수 적용

       ) 성취도, 등급, 원점수 모두 기재되지 않은 경우 반영하지 않음

       ) 과목이 3과목 미만인 경우: 부족한 과목당 기본점수 50, 이수단위 1단위로 적용함

       ) 진로과목 총점

            

     

      3) 교과총점 계산

         교과총점(최종) = (공통/일반선택과목 총점 × 0.8) + (진로선택과목 총점 × 0.2)

     

    . 성적반영 인정 과목

      1) 공통과목

    교과

    인정 과목

    국어

    국어, 국어, 국어

    수학

    공통수학, 기초수학, 수학, 수학10-, 수학10-, 수학(2009교육과정)

    영어

    공통영어, 기초영어, 기초영어, 기초영어, 실용영어(2009교육과정), 영어, 영어10-a, 영어10-b, 영어(2009교육과정)

    사회

    공통사회, 국사, 도덕, 사회, 역사, 윤리, 통합사회, 한국사, 한국사, 한국사

    과학

    공통과학, 과학, 과학탐구실험, 통합과학

     

      2) 일반선택과목

    교과

    인정 과목

    국어

    독서, 독서와문법, 독서와문법, 독서와문법, 매체언어, 문법, 문학, 문학, 문학, 언어와매체, 작문, 화법, 화법과작문, 화법과작문, 화법과작문

    수학

    미분과적분, 미적분, 미적분, 미적분, 미적분과통계기본, 미적분학, 미적분학, 수학, 수학, 적분과통계, 확률과통계

    영어

    영어독해, 영어독해, 영어독해, 영어독해와작문, 영어작문, 영어회화, 영어, 영어, 영어회화

    사회

    경제, 경제지리, 동아시아사, 법과사회, 법과정치, 사회·문화, 생활과윤리, 세계역사의이해, 세계지리, 세계사, 시민윤리, 윤리와사상, 인간사회와환경, 전통윤리, 정치, 정치와법, 한국문화사, 한국지리, 한국근·현대사, 현대생활과윤리

    과학

    물리, 물리학, 생명과학, 생물, 지구과학, 화학

     

      3) 진로선택과목

     

    교과

    인정 과목

    국어

    고전, 고전읽기, 고전문학감상, 고전문학의감상과비평, 국어생활, 매체와문학, 문예창작전공실기, 문장론, 문학개론, 문학의이해, 소설창작, 소설창작입문, 시창작, 시창작입문, 실용국어, 심화국어, 현대문학감상, 현대문학의감상과비평

    수학

    경제수학, 고급수학, 고급수학, 고급수학, 기본수학, 기하, 기하와벡터, 수학과제연구, 수학과제탐구, 수학연습, 수학연습, 수학의활용, 실용수학, 심화수학, 심화수학, 심화수학, 이산수학, 인공지능수학

    영어

    기본영어, 실무영어, 실용영어, 실용영어독해와작문, 실용영어회화, 실용영어, 실용영어, 심화영어, 심화영어, 심화영어, 심화영어독해, 심화영어독해, 심화영어독해와작문, 심화영어작문, 심화영어작문, 심화영어작문, 심화영어회화, 심화영어회화, 심화영어회화, 영미문학읽기, 영어권문화, 진로영어

    사회

    고전과윤리, 과제연구, 국제경제, 국제경제, 국제경제국제관계와국제기구, 국제정치, 국제정치, 국제정치, 국제법, 비교문화, 비교문화, 비교문화, 사회과제연구, 사회과학방법론, 사회문제탐구, 사회문화과제연구, 세계문제, 세계문제와미래사회, 여행지리, 인류의미래사회, 지역이해, 한국의사회와문화

    과학

    고급물리, 고급물리학, 고급생명과학, 고급지구과학, 고급화학, 과학과제연구, 과학사, 과학사및과학철학, 물리실험, 물리, 물리과제연구, 물리과제연구, 물리과제연구, 물리학과제연구, 물리학실험, 물리학, 생명과학과제연구, 생명과학실험, 생명과학, 생물, 생물과제연구, 생물과제연구, 생물과제연구, 생물실험, 생활과과학, 융합과학, 융합과학과제연구, 융합과학탐구, 융합과학탐구, 융합과학탐구, 융합과학, 융합과학, 정보과학, 지구과학과제연구, 지구과학실험, 지구과학, 화학과제연구, 화학실험, 화학, 환경과학

     

    인정 과목에 명시되지 않은 유사과목의 인정 여부는 대학입학전형관리위원회의 결정에 따름.(,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로 개설된 과목에 한함)

     

    . 비교과성적 산출방법: 반영하지 않음

         

  • A

    제목 없음

    -2 2025학년도 전형 결과

    <용어 안내>

    대학별 산출방식과 환산점수의 차이로 대학별 입시결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습니다.

      1) 충원합격 순위: 최종합격한 충원합격자의 마지막 순위

      2) 최종등록자: 최초합격자 및 충원합격자 중 등록자

      3) 50%: 예시 100명 중 50등의 점수

      4) 70%: 예시 100명 중 70등의 점수

      5) 환산점수 50% cut: 각 모집단위별 평가에 반영된 학생부 교과목의 성적을

         대학별 반영방법에 따라 환산한 점수(100명 중 50등의 점수)

         [소수점인 경우 버림 등수(예시: 최종등록자 7명의 경우 3등의 점수)]

      6) 환산점수 70% cut: 각 모집단위별 평가에 반영된 학생부 교과목의 성적을

         대학별 반영방법에 따라 환산한 점수(100명 중 70등의 점수)

         [소수점인 경우 버림 등수(예시: 최종등록자 7명의 경우 4등의 점수)]

      7) 총점(학생부): 각 모집단위별 평가에 반영된 학생부 교과목의 성적을

         대학별 반영방법에 따라 환산한 점수의 총점(만점)

      8) 학생부 등급: 각 모집단위별 평가에 반영된 학생부 교과목의 성적 학생부 평균등급

         (소수 세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9) 50% cut: 최종등록자 중 50%에 해당하는 등록자의 평가에 반영된

         학생부 교과목 성적 평균등급(100명 중 50등의 점수)

         [소수점인 경우 버림 등수(예시: 최종등록자 7명의 경우 3등의 점수)]

      10) 70% cut: 최종등록자 중 70%에 해당하는 등록자의 평가에 반영된

         학생부 교과목 성적 평균등급(100명 중 70등의 점수)

         [소수점인 경우 버림 등수(예시: 최종등록자 7명의 경우 4등의 점수)]

     

     

    [2025학년도]

    모집단위

    학생부교과전형

    모집

    인원

    경쟁률

    충원

    합격

    순위

    대학별환산

    최종등록자

    교과성적

    학생부등급

    최종등록자 환산점수

    총점

    (학생부)

    50% cut

    70% cut

    50% cut

    70% cut

    자율융합계열

    251

    5.27

    200

    88.72

    87.22

    100

    4.54

    4.82

    AI반도체학부

    17

    8.41

    17

    89.24

    88.99

    100

    4.5

    4.58

    데이터사이언스학부

    13

    6.23

    10

    88.51

    87.28

    100

    4.33

    4.78

    소프트웨어학부

    43

    5.67

    38

    88.92

    85.32

    100

    4.51

    4.79

    디지털헬스케어학부

    15

    5.8

    10

    90.63

    89.66

    100

    4.27

    4.49

    임상병리학과

    12

    5.08

    4

    97.15

    96.81

    100

    2.03

    2.36

    물리치료학과

    10

    8.2

    12

    95.36

    95.06

    100

    2.81

    2.97

    작업치료학과

    9

    6

    12

    93.01

    93

    100

    3.22

    3.63

    방사선학과

    10

    5.4

    8

    95.6

    95.37

    100

    2.69

    2.76

    치위생학과

    10

    6.4

    11

    93.44

    93.15

    100

    3.51

    3.55

    AI보건정보관리학과

    9

    9.56

    7

    93.29

    92.38

    100

    3.58

    3.84

    의예과

    16

    22.56

    10

    99.2

    98.85

    100

    1.3

    1.47

    간호학과

    10

    8.5

    8

    96.55

    96.32

    100

    2.43

    2.48

     

알림아이콘

2026학년도 전형평가기준 및 결과공개 자료입니다.

  • A

    제목 없음

    -1 2026학년도 전형별 주요사항

    [전형별 특성]

    전형별 주요사항

    일반전형

    수능성적 우수자 선발

    탐구과목 상위 1과목 반영(의예과 제외)

    의예과는 서로다른 과목명의 과학탐구 2과목 반영

    강원인재(의예)전형

    지역의 수능성적 우수자를 선발하기 위한 전형

    수시 강원인재전형 의예과 이월 시 시행

    서로 다른 과목명의 과학탐구 2과목 반영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디자인예술학부실기전형

    수능 30%, 실기 70% 반영하여 선발

    수능은 국어, 영어 영역만 반영

     

    [전형별 전형요소]

    구분

    전형방법

    비고

    모집

    인원

    선발방법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배점)

    방법

    배수

    수능

    실기

    가군

    일반전형

    115

    일괄합산

    100

     

     

    나군

    일반전형

    172

    일괄합산

    100

     

     

    강원인재(의예)전형

    0

    일괄합산

    100

     

     

    디자인예술학부실기전형

    30

    일괄합산

    30

    70

     

     

    [수능 성적 산출방법]

    수능 성적 산출방법

    . 활용지표

      1) 국어, 수학: 표준점수

      2) 영어: 등급 환산점수

      3) 탐구: 변환표준점수

      4) 한국사: 등급 환산점수

     

    . 반영 영역 및 반영 비율

      1) 모집단위에 따른 반영 영역 및 비율

       ) []군 수능(일반전형): AI반도체학부, 데이터사이언스학부, 소프트웨어학부, 디지털헬스케어학부, 임상병리학과, 방사선학과

         (1) 반영영역: 국어, 수학, 영어, 탐구(과학) 상위 1과목, 한국사

         (2) 반영비율: 국어 24.75%, 수학 37.13%, 영어 12.37%, 탐구(과학) 24.75%, 한국사 1%

         (3) 동점자 처리기준 우선순위: 수학, 과학탐구, 국어, 영어, 한국사(등급)

     

       ) []군 수능(일반전형):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치위생학과, AI보건정보관리학과, 간호학과

         (1) 반영영역: 국어, 수학, 영어, 탐구(사회/과학) 상위 1과목, 한국사

         (2) 반영비율: 국어 28.29%, 수학 28.29%, 영어 14.13%, 탐구(사회/과학) 28.29%, 한국사 1%

         (3) 동점자 처리기준 우선순위: 수학, 국어, 영어, 탐구, 한국사(등급)

     

       ) []군 수능(일반전형): 자율융합계열

         (1) 반영영역: 국어, 수학, 영어, 탐구(사회/과학) 상위 1과목, 한국사

         (2) 반영비율: 국어 28.29%, 수학 28.29%, 영어 14.13%, 탐구(사회/과학) 28.29%, 한국사 1%

         (3) 동점자 처리기준 우선순위: 수학, 국어, 영어, 탐구, 한국사(등급)

     

       ) []군 수능(일반전형): 동아시아국제학부, 글로벌엘리트학부

         (1) 반영영역: 국어, 수학, 영어, 탐구(사회/과학) 상위 1과목, 한국사

         (2) 반영비율: 국어 22%, 수학 22%, 영어 33%, 탐구(사회/과학) 22%, 한국사 1%

         (3) 동점자 처리기준 우선순위: 영어, 국어, 수학, 탐구, 한국사(등급)

     

       ) []군 실기/실적(디자인예술학부 실기전형): 디자인예술학부

         (1) 반영영역: 국어, 영어

         (2) 반영비율: 국어 66.67%, 영어 33.33%

         (3) 동점자 처리기준 우선순위: 국어, 영어 순

     

       ) []군 수능(일반전형): 의예과

         (1) 반영영역: 국어, 수학, 영어, 탐구(과학) 2과목, 한국사

         (2) 반영비율: 국어 22%, 수학 33%, 영어 11%, 탐구(과학) 33%, 한국사 1%

         수학: 미적분, 기하

         탐구(과학): 동일과목 , 선택 불가

         (3) 동점자 처리기준 우선순위: 수학, 과학탐구, 국어, 영어, 한국사(등급)

     

       ) []군 수능[강원인재(의예)전형]: 의예과

         (1) 반영영역: 국어, 수학, 영어, 탐구(과학) 2과목, 한국사

         (2) 반영비율: 국어 22%, 수학 33%, 영어 11%, 탐구(과학) 33%, 한국사 1%

         수학: 미적분, 기하

         탐구(과학): 동일과목 , 선택 불가

         (3) 동점자 처리기준 우선순위: 수학, 과학탐구, 국어, 영어, 한국사(등급)

     

    . 변환표준점수 활용 시 반영방법

      1) 탐구 과목은 통합 변환표준점수(자체산출) 적용

     

    . 소수점 처리방식

      - 최종 점수의 소수점 5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 등급산출방법

      1) 과목별 점수 산출 방법

       ) 국어, 수학: 수능 성적표상의 표준점수를 그대로 적용

       ) 탐구(사회/과학): 수능 백분위를 활용 자체적으로 산출한 변환표준점수를 적용

     

         (1) 탐구영역 변환표준점수표(2025학년도 기준)

    백분위

    공통

     

    백분위

    공통

     

    백분위

    공통

     

    백분위

    공통

     

    백분위

    공통

    100

    70.00

     

    80

    60.30

     

    60

    53.00

     

    40

    45.82

     

    20

    40.04

    99

    68.78

     

    79

    59.94

     

    59

    52.66

     

    39

    45.54

     

    19

    39.80

    98

    68.10

     

    78

    59.57

     

    58

    52.33

     

    38

    45.24

     

    18

    39.54

    97

    67.36

     

    77

    59.19

     

    57

    51.96

     

    37

    44.93

     

    17

    39.26

    96

    66.69

     

    76

    58.85

     

    56

    51.61

     

    36

    44.62

     

    16

    38.98

    95

    66.05

     

    75

    58.50

     

    55

    51.22

     

    35

    44.32

     

    15

    38.69

    94

    65.52

     

    74

    58.18

     

    54

    50.80

     

    34

    44.02

     

    14

    38.42

    93

    65.07

     

    73

    57.77

     

    53

    50.41

     

    33

    43.73

     

    13

    38.15

    92

    64.54

     

    72

    57.39

     

    52

    50.08

     

    32

    43.44

     

    12

    37.87

    91

    64.18

     

    71

    57.07

     

    51

    49.69

     

    31

    43.16

     

    11

    37.58

    90

    63.82

     

    70

    53.00

     

    50

    49.35

     

    30

    42.87

     

    10

    37.23

    89

    63.43

     

    69

    52.66

     

    49

    49.01

     

    29

    42.56

     

    9

    36.89

    88

    63.10

     

    68

    52.33

     

    48

    48.66

     

    28

    42.27

     

    8

    36.53

    87

    62.74

     

    67

    51.96

     

    47

    48.29

     

    27

    41.99

     

    7

    36.15

    86

    62.40

     

    66

    51.61

     

    46

    47.87

     

    26

    41.70

     

    6

    35.74

    85

    62.06

     

    65

    51.22

     

    45

    47.51

     

    25

    41.41

     

    5

    35.32

    84

    61.71

     

    64

    50.80

     

    44

    47.14

     

    24

    41.12

     

    4

    34.93

    83

    61.34

     

    63

    50.41

     

    43

    46.81

     

    23

    40.83

     

    3

    34.42

    82

    61.01

     

    62

    50.08

     

    42

    46.47

     

    22

    40.57

     

    2

    33.81

    81

    60.64

     

    61

    49.69

     

    41

    46.13

     

    21

    40.30

     

    1

    32.79

     

     

     

     

     

     

     

     

     

     

     

     

    0

    30.71

     

      

       ) 영어, 한국사

         - 수능 성적표상의 등급에 따른 아래 반영 방법의 환산점수를 반영

        

         (1) 영어 등급별 점수표

    수능등급

    1

    2

    3

    4

    5

    6

    7

    8

    9

    전 모집단위

    (의예과 제외)

    100

    95

    90

    80

    70

    60

    40

    20

    10

    의예과

    100

    95

    87.5

    75

    60

    40

    25

    12.5

    5

     

         (2) 한국사 등급별 점수표

    수능등급

    1

    2

    3

    4

    5

    6

    7

    8

    9

    전 모집단위

    (의예과 제외)

    10

    10

    10

    10

    10

    9.5

    9.0

    8.5

    8.0

    의예과

    10

    10

    10

    9.5

    9.0

    8.5

    8.0

    7.5

    7.0

     

      2) 전형별 점수 산출 방법

       ) 일반전형/강원인재(의예)전형

    모집

    계열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수학

    영어

    탐구1)

    소계

    반영점수

    한국사

    총점

    사회/

    과학

    과학

    자율융합계열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치위생학과

    AI보건정보관리학과

    간호학과

    200

    200

    100

    2004)

    -

    700

    1,000

    (소계×1,000÷700)

    10

    1,010

    동아시아국제학부

    200

    200

    3002)

    2004)

    -

    900

    1,000

    (소계×1,000÷900)

    10

    1,010

    AI반도체학부

    데이터사이언스학부

    소프트웨어학부

    디지털헬스케어학부

    임상병리학과

    방사선학과

    200

    3003)

    100

    -

    2004)

    800

    1,000

    (소계×1,000÷800)

    10

    1,010

    의예과

    200

    3003)

    100

    -

    3005)

    900

    1,000

    (소계×1,000÷900)

    10

    1,010

           1) 탐구과목은 백분위를 활용한 변환표준점수를 반영함

             2) 영어 등급 환산점수 총점 100점에 3을 곱하여 300점 만점으로 반영함

             3) 수학 표준점수 총점 200점에 3/2를 곱하여 300점 만점으로 반영함

             4) 탐구 상위 1과목의 변환표준점수 총점 100점에 2를 곱하여 200점 만점으로 반영함

             5) 과학탐구 2과목의 변환표준점수 총점 200점에 3/2를 곱하여 300점 만점으로 반영함

       ) 디자인예술학부 실기전형

     

    모집단위

    실기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

    총점

    국어

    영어

    소계

    반영점수

    디자인예술학부

    700

    200

    100

    300

    300

    1,000

         (1) 국어는 표준점수를 그대로 반영

         (2) 영어는 등급 환산점수 반영

     

         

  • A

    제목 없음

    -2 2025학년도 전형 결과

    대학별 산출방식과 환산점수의 차이로 대학별 입시결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습니다.

      1) 충원합격 순위: 최종합격한 충원합격자의 마지막 순위

      2) 최종등록자: 최초합격자 및 충원합격자 중 등록자

      3) 70%: 예시 100명 중 70등의 점수

      4) 환산점수: 각 모집단위별 평가에 반영된 수능 영역의 대학별 반영방법에 따른 환산점수

      5) 70% cut: 최종등록자 중 70%에 해당하는 등록자의 평가에 반영된 수능 영역의

         대학별 반영방법에 따른 환산점수(100명 중 70등의 점수)[소수 세번째 자리 반올림]

         [소수점인 경우 버림 등수(예시: 최종등록자 7명의 경우 4등의 점수)]

      6) 총점(수능): 각 모집단위별 평가에 반영된 수능 영역의 환산점수에 따른 수능 환산총점(만점)

      7) 70% cut 평균(백분위): 최종등록자 중 70%에 해당하는 등록자의 평가에 반영된 영역의

         백분위 평균(백분위 평균값의 100명 중 70등 점수)[소수 세번째 자리 반올림]

         [소수점인 경우 버림 등수(예시: 최종등록자 7명의 경우 4등의 점수)]

     

    [2025학년도]

    구분

    모집단위

    모집인원

    충원

    합격

    순위

    대학별 환산

    백분위

    최종등록자 수학 선택 과목 응시비율(%)

    최초

    (A)

    이월

    (B)

    최종

    (A+B)

    최종

    등록자

    50% cut

    최종

    등록자

    70% cut

    총점

    (수능)

    최종등록자

    50% 학생 성적

    최종등록자

    70% 학생 성적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과목별 백분위

    (영어, 한국사는 등급 표기)

    과목별 백분위

    (영어, 한국사는 등급 표기)

    1

    2

    1

    2

    가군

    AI반도체학부

    10

    9

    19

    9.9

    17

    633.28

    626.78

    1,010

    68

    76

    76

     

    3

    3

    63

    74

    75

     

    3

    3

    0

    100

    0

    데이터사이언스학부

    10

    2

    12

    5.4

    16

    625.63

    619.10

    1,010

    68

    74

    69

     

    3

    3

    58

    74

    67

     

    3

    3

    0

    100

    0

    소프트웨어학부

    15

    14

    29

    7.9

    47

    629.10

    623.88

    1,010

    70

    78

    75

     

    3

    3

    63

    74

    71

     

    3

    3

    0

    92

    8

    디지털헬스케어학부

    8

    5

    13

    9.0

    21

    623.75

    620.68

    1,010

    63

    74

    87

     

    3

    3

    56

    68

    67

     

    3

    3

    0

    100

    0

    임상병리학과

    10

    0

    10

    5.0

    3

    662.00

    659.10

    1,010

    85

    90

    81

     

    2

    2

    82

    85

    80

     

    2

    3

    0

    100

    0

    물리치료학과

    6

    0

    6

    7.3

    2

    661.43

    659.26

    1,010

    80

    81

    92

     

    2

    1

    80

    81

    88

     

    3

    1

    50

    50

    0

    작업치료학과

    6

    4

    10

    7.5

    6

    638.86

    638.74

    1,010

    67

    68

    88

     

    2

    2

    61

    63

    85

     

    3

    3

    60

    40

    0

    방사선학과

    5

    0

    5

    6.0

    1

    661.03

    660.80

    1,010

    85

    92

    92

     

    2

    2

    82

    90

    81

     

    2

    2

    0

    100

    0

    치위생학과

    5

    2

    7

    10.0

    9

    647.31

    644.34

    1,010

    79

    74

    85

     

    3

    2

    77

    63

    84

     

    3

    3

    14.3

    85.7

    0

    AI보건정보관리학과

    5

    4

    9

    9.6

    6

    645.00

    644.57

    1,010

    74

    68

    88

     

    2

    2

    72

    66

    87

     

    2

    2

    25

    62.5

    12.5

    간호학과

    9

    1

    10

    5.4

    10

    676.26

    676.00

    1,010

    89

    74

    96

     

    2

    1

    89

    74

    90

     

    2

    2

    20

    70

    10

    나군

    자율융합계열

    131

    32

    163

    7.1

    191

    635.41

    632.37

    1,010

    68

    66

    85

     

    3

    2

    63

    59

    80

     

    3

    3

    48.1

    49.4

    2.6

    의예과(일반전형)

    21

    0

    21

    5.5

    17

    722.17

    721.75

    1,010

    98

    99

    98

    99

    1

    1

    97

    99

    99

    97

    1

    1

    0

    100

    0

    의예과(강원인재)

    0

    3

    3

    8.3

    0

    713.16

    709.79

    1,010

    99

    98

    99

    99

    1

    1

    97

    98

    94

    96

    2

    1

    0

    66.7

    33.3

    디자인예술학부

    30

    1

    31

    7.0

    6

    192

    188

    300

    65

    19

    73

     

    4

    4

    56

    11

    59

     

    4

    4

    48.4

    32.3

    3.2

     

딤영역

자동로그아웃 안내

안내

고객님의 안전한 웹사이트 사용을 위해
로그인 후 서비스 이용이 없어 로그아웃 됩니다.

자동 로그아웃 까지

시간

59

로그인 시간을 연장할까요?

원격지원서비스

원격 진행 순서

원격지원서비스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문제를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1. 전화상담
  2. 지원사이트 접속
  3. 접속정보 입력
  4. 원격지원
  1. 1기술지원 상담원을 전화상으로 호출합니다.

    업무 문의 : 02-6919-3975, 3976

  2. 2원격지원서비스 링크로 이동합니다.
  3. 3고객이름 및 접속번호 를 입력 후 원격지원을 받습니다.